본문 바로가기

심리22

자존감 수업: 자존감 높이는 방법 2 책 『자존감 수업』에서는 독자들로 하여금 개인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을 책 전반에 걸쳐 상세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자존감 회복을 위해 다뤄볼 조언은 '자기 결정' '지금 여기' '행동'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자존감 수업』 리뷰 이전 글 정리 자존감 수업: 자존감이 낮아 고민이신가요? 자존감 수업: 사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 자존감 수업: 인정에 목마른 사람들 자존감 수업: 자존감 높이는 방법 1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기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으로 저자는 높은 의존성을 꼽습니다. 선택의 순간에서 다른 사람에게 결정권을 쥐어주는 것입니다. 삶의 중요한 결정할 때마다 타인에게 의존한다면 어떤 문제점이 생길까요? 먼저, 점점 더 자신의 판단을 믿지 못하게 .. 2021. 10. 9.
자존감 수업: 자존감 높이는 방법 1 이 책을 읽게 된 주된 동기는 자존감의 중요성을 살피고 자존감 낮은 사람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도 있었지만, 결국 자존감 회복을 위한 방법을 알기 위해서였습니다. 책의 1~4부가 자존감에 대한 해설이 주된 내용이었다면, 5~7부는 가져야 할 마음가짐, 구체적인 실천방법 등,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앞부분보다 뒷부분에서 더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5, 6, 7부와 책 전반에 소개되어있는 조언 중, 마음에 남는 것들을 갈무리해보았습니다. 첫째, 내가 먼저 스스로를 사랑하기 나를 사랑하라는 조언은 사실 진부하게 느껴질 정도로 많이 듣고 보는 내용입니다. 그럼에도 첫 순서로 언급하는 이유는 이 문장이 눈.. 2021. 10. 4.
자존감 수업: 인정에 목 마른 사람들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 이 책에 언급하는 내용 중, 사랑 이외에 눈에 띄는 주제가 있다면 바로 '인정'이었습니다. 인정은 다른 심리학 책에서도 대인관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가치 있는 사람이고 싶습니다. 인간으로서 당연한 욕구일 거란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자기 가치의 높고 낮음을 어떤 근거로 판단할 수 있을까요? '내가 얼마나 가치 있는가'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타인이 주는 반응을 토대로 형성됩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고 싶다는 욕구는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다는 욕구와 같습니다. 때문에 우리는 내가 인정받을 만한 사회적 지위에 있는지, 그리고 그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고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자신이 사회 또는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 2021. 9. 27.
자존감 수업: 사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 '나를 사랑할 리 없다'는 믿음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으로 저자는 '사랑에 대한 두려움'을 언급합니다. 이 내용은 책 2부 전반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실제보다 낮게 평가합니다. 자신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다 보니 자신이 사랑받을만한 사람인지에 대한 확신도 부족합니다. 더 심하게는 '나를 사랑 할리 없다'는 명제를 절대적인 믿음으로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사랑을 시작하는 것 자체에도 문제를 겪지만, 연인이나 배우자가 있을 때의 피해는 더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계속 상대를 시험합니다. 먼저, 이들은 쉽게 상처 받고 서운해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상대의 모든 행동을 '나를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의미와 연결시켜 생각합니다. 무의식에.. 2021. 9. 26.
자존감 수업: 자존감이 낮아 고민이신가요? 들어가며: 자존감이 낮아 고민이신가요? '자존감'이라는 단어는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는 대중적인 단어가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어렵지 않게 일상생활에서 자존감이라는 말을 접하게 됩니다. '전 너무 자존감이 낮아요.' '쟤는 너무 자존감이 낮은 것 같아.' 우리는 자존감의 정의를 명확하게 알지 않아도, 이미 그 필요와 중요성에 대해서 잘 알고 있습니다. 자존감은 크게 자기 효능감, 자기 조절감, 자기 안전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중 하나 이상에 위협을 받게 되면, 자존감은 위태롭게 흔들리게 됩니다. 먼저,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의 쓸모에 대해 느끼는 바입니다. 둘째, 자기 조절감이란 자기 자신(삶)을 원하는 대로 조절하고 있는가 하는 느낌입니다. 셋째, 자기 안전감이란 마음이 안전하.. 2021. 9. 22.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감정에 관해 미리미리 마음 돌보기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자신의 마음을 자주 살피고 돌보기를 저자는 희망합니다. 우리는 몸이 아프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이 최고라 여기고, 아프기 전에 미리 좋은 음식을 챙겨 먹고, 꾸준히 운동하려고 노력합니다. 마음의 건강 또한 몸의 건강만큼 중요합니다. 몸의 이상신호가 오기 전에 미리미리 쉬어 주고 챙겨주듯, 마음도 그렇게 대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오히려 우리는 우울 앞에서 자신을 더 가혹하게 몰아세우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정을 꽁꽁 싸매면 곧 고통도 사라질 것 같지만, 언젠가는 불현듯 다시 수면 위로 튀어 오른다고 합니다. 아픈 걸 참기만 하면 더 큰 병이 되는 건, 몸이나 마음이나 마찬가지인 듯합니다. 이처럼 나를 돌본다는 것은 나.. 2021. 9. 5.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관계와 사랑에 관해 잘 부탁하고 잘 거절하기. 태어나서 도움을 단 한 번도 받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종종 우리는 부탁하기를 어려워합니다. 민폐처럼 보일까 봐 도움 청하기를 주저하는 것입니다. 때론 혼자 해결할 능력이 없어 부탁하는 것만 같아 자존심이 상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부탁을 잘합니다. 타인의 도움을 받는다고 나의 존재감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혼자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힘든 일이 있으면 적절히 타인의 도움도 구하고, 여력이 있다면 반대로 도움도 주어야 합니다. 타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을 때, 자신의 자유를 가장 많이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선을 넘는 부탁이 있다면 단호하게 거절하는 힘도.. 2021. 9. 3.
딸에게 보내는 심리학 편지: 성취에 관해 헛된 일은 없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고착화되면 최대한 안전한 길, 확실한 길을 선호하게 됩니다. 남들이 검증한 길로만 가는 것이 보장된 방법이라고 여기는 것입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이유는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성공 방법이 따로 있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때문에 성공 근처에 가지 못한 채 여러 경험을 쌓는 과정을 허송세월이라 치부하고, 한심해하는 것을 종종 접하게 됩니다. 당사자 또한 성과 없이 '삽질' 중이라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자조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삽질'이라는 단어는 결과에 도움이 안 되는 쓸데없는 시간 낭비라는 부정적 의미로 쓰입니다. 하지만 '삽질'도 의미가 있습니다. 인생의 시작점에 선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삽질'이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이와 같이 이야기합니다. "최상의.. 2021. 9. 1.